주기능이란 뭘까? ENTJ vs INFP
MBTI에서 주기능은 ‘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협의의 ‘재능‘과는 다르다. 발생학적으로 주기능은 생존을 위해 가장 먼저 강화된 마음의 방어 진지이자, 반복된 위기 끝에 굳어진 심리적 흉터조직에 가까울 수 있다. 주기능은 '원래 강하게 태어난 것'이라기보단 생존을 위해 강화된 것이자 '없었다면 크게 취약해졌을 자리'에 세운 철옹성이다.
주기능은 ‘재능’이 아니다
MBTI 아고라(?)에서 흔히 쉽게 쉽게 말하는 내용 중에 “주기능은 슈퍼파워다!”라는 말이 있다.
그러나 주기능은 ‘타고난 재능’이 아니다. 최소한 전통적 의미에서의 '재능'과는 크게 다르다. MBTI에서 말하는 주기능은 그 기능 없이는 버틸 수 없었던 심리적 압력 속에서 적응/강화된 대응 메커니즘이다. 특정 기능이 뛰어나서 선택한 게 아니라는 말. 성격 발달 과정에서 “흠, 이게 내 메인이 되면 좋겠군” 같은 자발적 선택 따위는 없었으니까.
주기능 위에 체중이 실린 채 고착되게 된 이유는 단 하나 — 그쪽 역량 없이는 (사회적, 인격적)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 주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적응하지 않고서는 환경의 압력 하에서 나의 심리적 생태계가 폭삭 쪼그라들 각이었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한번 더 바꿔 말하면, 그 기능은 처음부터 완성형으로 만들어져서 갖고 태어난 탤런트라기보다 ‘어린 시절부터 마주친 수많은 응급 상황들 속에서 마음의 붕괴를 막기 위해 급하게 만든 가건물이 세월에 걸쳐 진화하게 된 구조물’이 아닐까?
세상의 빈틈을 틀어 막아야 했던 ENTJ
ENTJ는 본래부터 결단력 있고 강단 있는 존재로 태어난 게 아니다. 김알지나 박혁거세가 아닌 이상, 태어날 때부터 추진력이 강하고 돌파력이 매서운 갓난아이라는 건 좀처럼 상상이 가지 않는다. 아이란 언제나 약자 중의 약자.
ENTJ의 ‘결단력’은 결과론적 이미지다. 하지만 끈기, 의지, 돌파력은 16개 유형 모두가 각자의 방식으로 지니고 있다. ENTJ가 특별히 독종은 아니며 약한 부분을 찔리면 주저 앉게 되는 데에는 유형 구분이 없다. 사람을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싶다면 그런 단순 일반화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ENTJ가 지금의 형태로 다져진 건 세상이 지나치게 무질서하고, 무작위적이며 부당하다고 느껴졌고 그걸 내적으로 소화할 윤리적 틀거리의 발달이 미약했기에(Fi) 자기를 둘러싼 외부의 혼란을 질서, 효율, 위계로 틀어막아야 했던 것(Te). 즉 ‘비효율이 가득한 야만의 세계’는 안전하지 않게 느껴졌기 때문에 직접 뛰어들어 ‘위협원’의 싹을 제거해야 비로소 숨을 쉴만 했던 것.
요컨대 질서 없이는 생존할 수 없었기 때문에, 직접 질서를 만드는 쪽으로 길이 든 것. Te와 정반대인 Fi를 생각해보면 좀 더 느낌이 온다.
내적 중심을 지키는 INFP
INFP는 외부 세계를 통제하지 않아도 자기 존재 안에서 기본적인 정서적 안전감을 느낀다고도 말할 수 있겠다. INFP에게 생존(생존할 수 있다는 느낌)은 외부 제어나 자기 효능감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으니까. 이들의 생존은 내면의 일관성과 가치 구조를 사수하는 데에 달려 있다. 나의 발걸음이 나의 마음과 일치하는 게 중요한 INFP는 세상이 아무리 혼란스러워도 그로 인해 무너지지는 않는다. 외적인 힘을 다 잃더라도 그 무력감 때문에 내폭하는 일도 그답지 않다(반면, ENTJ라면 모든 힘을 잃고 나면 마음이 꺾일 수 있다). INFP는 내 진심대로 행동할 수 없을 때, 즉 스스로를 배신할 수 밖에 없을 때 안으로부터 무너진다.
주기능은 왕관이 아니라 흉터조직
MBTI의 ‘주기능’은 승리의 트로피 같은 게 아니라 인생의 초창기부터 마음이 겪어온 취약함을 감싸며 형성되온 일종의 심리적 흉터조직. MBTI가 말해주는 건 인생이라는 배틀필드에서 내가 내 방어진지를 구축한 자리를 말해준다. 요컨대 주기능은 ‘재능’이 아니라, 이 현실 세계에서 맞닥뜨린 존재론적 위기 앞에서 만들어진 최초의 응급 가건물. 이후 임시변통 방어 진지 위로 벽돌을 쌓아올려 거대한 요새가 되어버린 것.